[CityEngine]문화재 보호구역을 고려한 절차적 도시설계 : Part 3/3 (시나리오)

관리자
2023-03-03
조회수 112

> 이전글 : 

문화재 보호구역을 고려한 절차적 도시설계 : Part1

문화재 보호구역을 고려한 절차적 도시설계 : Part2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시나리오

유네스코에서 인정한 조선왕릉의 OUV은 크게 풍수원리를 적용한 자연경관의 보존, 왕릉의 건물 및 관련 요소의 구조, 그리고 전통적인 제사 관습에 있다. 비록 OUV에 '왕릉에서 바라보는 조산이 차폐되지 않을 것'과 같은 문구가 명시적으로 표기되지는 않았지만 '풍수에 입각한  자연경관의 가치'는 인정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차폐' 사전적 의미에는 능선을 방호한다는 의미가 담겨있으며, 일각에서 제시한 시뮬레이션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구분
지면 + 20mR 아파트20층4층
D 아파트20층4층
Y 아파트25층4층
능선R 아파트20층2~5층
D 아파트20층1~19층
Y 아파트25층6층
인근 아파트R 아파트20층13~17층
D 아파트20층11~18층
Y 아파트25층18~19층
인근 아파트 + 안산R 아파트20층8~17층
D 아파트20층11~18층
Y 아파트25층8~19층

경관 시뮬레이션 결과 | MBN 뉴스


김포장릉-검단신도시 논란의 중심은 신축 아파트 단지가 김포 장릉의 조산격인 계양산을 차폐하였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해당한다.  즉, 대안은 능선의 기준을 어디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번 시뮬레이션에서는 김포 장릉 장명등에서 바라보는 계양산의 능선을 기준으로, 경관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산-장릉-조산으로 이어지는 경관


계양산 능선 설정

계양산 정상은 장릉으로부터 직선거리로 약 6.65킬로미터 떨어져 있으며, 해발고도  395.4미터로 나타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장명등에서 부터 계양산으로 이어지는 시선(앙각)을 생성하기 위해, 계양산 정상을 기준으로 4~9부 능선을 생성하였다.


계양산 능선의 설정 


구분시나리오1시나리오2시나리오3시나리오4시나리오5시나리오6
9부 능선8부 능선7부 능선6부 능선5부 능선4부 능선
표고(meter)355.9316.3276.9237.2197.8158.2

아파트 단지 계획

장명등~계양산으로 이어지는 시선 가운데 존재하는 아파트 단지는 대표적으로 S, K, P 아파트이다. 세 아파트 단지는 각각 최대 29층, 최소 14층으로 규모로 건설되어 있으며, 이른바 왕릉뷰 논란 이전에도 일부 조망이 차폐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신축 아파트 단지 3개 건설과 함께 비교하기 위해, 앞서 설정된 능선에 따라 최대 건축 가능 높이를 산정하여 배치하였다. 이때,  층고는 1층부 3.5미터, 상층부 3미터로 일괄 적용하였으며, 옥상의 높이는 1.5미터로 적용하되 최종 건축물 높이 제한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아래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관찰자 시점 : 180센티미터 성인 눈높이 기준)


구분현재시뮬레이션
과거 (아파트 건설 전)

S아파트 (02년 5월 준공)
14~15층
- 해당 없음 -
K아파트 (21년 7월 준공)
20~29층- 해당 없음 -
P아파트 (21년 8월 준공)18~29층
- 해당 없음 -
현재 (아파트 건설 후)

R 아파트
20층
- 해당 없음 -
D 아파트
20층
- 해당 없음 -
Y 아파트
25층
- 해당 없음 -
시나리오1 (9부 능선)

R 아파트
20층
20~23층
D 아파트
20층18~26층
Y 아파트
25층
24~30층
시나리오2 (8부 능선)

R 아파트20층19~21층
D 아파트20층16~24층
Y 아파트25층22~27층
시나리오3 (7부 능선)

R 아파트20층17~20층
D 아파트20층14~22층
Y 아파트25층20~25층
시나리오4 (6부 능선)

R 아파트20층15~17층
D 아파트20층12~19층
Y 아파트25층18~22층
시나리오5 (5부 능선)

R 아파트20층13~15충
D 아파트20층9~16층
Y 아파트25층15~19층
시나리오6 (4부 능선)

R 아파트
20층11~13층
D 아파트
20층
7~14층
Y 아파트
25층
13~16층

아파트 단지 계획 시뮬레이션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 건설된 아파트 단지는 계양산 9부 능선을 기준으로 건축물 높이를 산정하였을 때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주변 건축물의 높이를 고려한다면 최대 높이는 7부 능선, 평균적으로는 5부 능선, 최소 높이는 4부 능선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LOS(Line Of Sight) 분석

LOS 분석은 어떤 물체나 지형을 가로지르는 시선을 중심으로 '보이는(Visible) 영역'과 '보이지 않는(Not visible) 영역'을 생성하는 분석 기법이다. 관찰자와 계양산 능선 간 55쌍의 가시선을 생성하고 3D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위 표에서 제시한 8개 상황에 대한 LOS 분석을 반복 수행하여 변화율을 살펴보았다.  


가시선의 생성 


구분보이는 지역보이지 않는 영역
과거 (아파트 건설 전)
44.5% 55.5%
현재 (아파트 건설 후)14.1%85.9%
시나리오1 (9부 능선)14%86%
시나리오2 (8부 능선)
21.9%78.1%
시나리오3 (7부 능선)
30.2%69.8%
시나리오4 (6부 능선)
35.7%64.3%
시나리오5 (5부 능선)
39.2%60.8%
시나리오6 (4부 능선)
42.8%57.2%

시나리오별 LOS 분석 결과


3D Web GIS Application 발행

ArcGIS Online 서비스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내용을 조작 가능한 형태의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발행하면 다른 사용자와 함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래 즐겨찾기 버튼을 선택하여 각기 다른 시나리오에 대해 화면 분할 및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다. 기본 화면은 아파트 건설 전 의 경관과 건설 후의 경관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김포장릉-검단신도시 신축 아파트 건축 시뮬레이션 | 아파트 건설 전/후 가시선에 대한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남




미래에는 ?

BIM과 더불어 파라메트릭 모델링, 컴퓨테이셔널 디자인 등 많은 3D CAD 시스템이 맥락에 알맞은 디자인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GIS를 이용한 도시설계는 지리적 맥락에서 다양한 상황 변수와 함께 도시공간을 물리적으로 디자인해나가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이 있다고 해서 앞으로 왕릉뷰 아파트와 같은 상황을 모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중요한 것은 빠르게 발전하는 IT 기술에 대해서 끊임없이 학습하고 시험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해나가며 산업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를 준비하는 것이다. 

0 0